홈 투자전략 투자전략
(7-24/목) 뉴욕증시 일본 이어 EU와도 15% 관세 합의 근접에 신고가 랠리 (SK하이닉스 호실적, 2분기 GDP +0.6% 증가) |
---|
작성자 : 김양균대표 작성일 : 2025-07-24 조회수 : 23 |
일본이 미국에 5500억달러를 투자하고, 자동차와 쌀 시장을 개방하면서 25%의 관세를 15%로 낮추는 무역 협상을 타결했다는 소식에 일본 닛케이지수가 3.59% 급등하면서 다시 4만선을 돌파하며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참의원 선거에 패배한 이시바 총리는 “국익을 걸고 벌인 힘겨운 협상의 결과”라고 밝혔고, 일본 언론은 이시바 총리가 참의원 선거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임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특히, 미국이 일본 자동차에 대한 기존 25% 관세율을 15%로 낮춘다는 소식에 도요타(14.3%) 혼다(11.1%) 마쯔다(17.8%) 미쓰비시(13.0%) 닛산(8.3%) 등 자동차 주가가 크게 올랐다.
우리나라도 미국과 무역협상에 적극 나서고 있다. 21일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을 필두로 한미의원연맹 소속 국회의원들, 22일에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23일에는 김정관 산자부 장관이, 24일에는 구윤철 경제부총리가 미국으로 향하면서 조만간 무역협상이 타결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우리나라는 쌀과 소고기는 협상할 수 없는 ‘레드라인’으로 설정하고, 대신 에너지 수입 확대와 반도체 장비, 항공기, 무기 등을 대량 구매하는 협상 카드를 준비하고 있다. 미일 무역 협상에서 자동차 관세율이 절반으로 낮춰지자 한국차에도 관세가 완화될 수 있다는 기대감에 기관과 외국인이 적극 매수에 나서면서 현대차(7.51%) 기아(8.49%) 등 자동차주들이 강세를 보였다.
23일 코스피지수는 13.83포인트(0.44%) 상승한 3183.77로 반등하며 마감했다. 미일무역협상 체결 소식에 강세 출발했지만 반도체주 약세에 상승폭은 제한됐다. 원/달러 환율이 무역 협상 기대에 1379원으로 전일 종가보다 8.0원 하락했지만 외국인 매수세는 강하지 않았다. 코스피에서 3156억원 순매수했지만, 코스닥에서는 324억원 순매도하며 3일째 매도세를 이어갔다. 선물에서는 3895억원 순매수로 전일 6391억원 순매도에 못미치며 7월 10일 옵션 만기일 이후 누적 1조5521억원 순매도 상태로 수급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일본이 알래스카 LNG 합작법인 투자 소식에 하이스틸(↑)과 이렘(↑)은 상한가를, 넥스틸(13.06%), 동양철관(12.45%) 등 가스관 관련주가 급등했다.
뉴욕증시는 일본과 합의에 이어 EU와도 15% 관세 합의에 근접했다는 보도에 위험선호 심리가 고조되며 또 신고가를 경신했다. 다우(1.14%), S&P500(0.78%), 나스닥(0.61%), 반도체(-0.02%) 국채금리는 평균관세율이 10%대 후반으로 예상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며 상승했고, 안전자산 수요가 줄며 달러화 가치와 금가격은 하락했다. 엔비디아(2.25%)는 빅테크 실적 발표가 본격화되면서 AI 투자 확대 기대감으로 상승했지만, 텍사스인스트루먼츠(TI)는 실망스런 실적에 -13% 급락했다. 테슬라는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하고, 주당순이익(EPS)도 23% 급감해 시장 예상치에 못미치면서 시간외 거래에서 -4.5% 급락했다.
SK하이닉스가 2분기 매출 22조2320억원, 영업이익 9조2129억원으로 사상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하반기에도 메모리 수요 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우리나라의 2분기 GDP는 전분기(-0.2%) 역성장을 딛고 0.6% 증가를 기록했다. 전날 야간선물은 0.65% 올랐고, MSCI한국 etf 가격은 1.32% 상승했다. 삼성전자 해외 DR은 1.60% 상승해 환산가 6만6600원으로 전날 거래소 종가 6만6400원보다 200원 높았다. (원/달러 환율 1375원 적용) 아침 프리마켓 삼성전자(0.3%), SK하이닉스(1.5%), LG에너지솔루션(0.7%), 삼성바이오로직스(1.0%), 현대차(-1.1%) 등 대형주가 강보합세 보이고 있다. 국내증시 개장전 미국 선물지수는 0.2% 전후 오른 강보합권에서 움직이고 있다. 목요일(24일) 코스피 지수는 3200선 전후에서 상승 출발이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