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1 엑스원

메뉴

(4-23/수) 뉴욕증시 ‘관세 협상 낙관, 파월 해임 없다’ 급등 (대선 테마 CCUS 급등)
작성자 김양균대표작성일 2025-04-23

대선에서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기술을 비롯한 친환경 이슈가 부각되며

관련 분야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들이 급등세다.

온실가스 감축 등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CCUS 산업의 글로벌 시장 규모는 

연평균 29% 성장해 2040년 8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이재명 후보는 기후환경 공약을 발표하면서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전기차 보급 확대로 미세먼지를 획기적으로 줄이겠다고 밝혔다.

미세먼지 대책으로 2040년까지 석탄발전 폐쇄, 2028년 제33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3) 유치도 공약으로 내놨다. 

그린케미칼(↑), 에코바이오(↑), 금양그린파워(↑), 에코아이(17.48%)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가 의약품에 대해서도 부과할 자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이날 네이처셀 신라젠 코렌텍 등이 FDA 이슈로 급등했다.

·· 네이처셀(↑)은 퇴행성관절염 줄기세포치료제 ‘조인트스템’ 임상 3상 시험을

FDA가 현지 품목허가를 위한 최종 임상시험으로 인정했다는 소식에 급등세다.

·· 신라젠(↑)은 FDA로부터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환자 대상으로 임상을 

확대하는 임상시험계획 변경을 승인받았다고 공시하며 급등세다.

·· 코렌텍(4.27%)은 2019년 처음 출시한 인공슬관절 제품이 FDA의 시판 전 

허가를 획득했다는 소식에 이틀 연속 상승세다.

 

 

22일 코스피 지수는 1.78포인트(-0.07%) 내린 2486.64로 약보합 마감했다.

전날 미국 증시가 -2%대 급락하고, 외국인 매도세가 8거래일 연속 이어졌지만

국내 증시가 보합 수준에서 선방하고 있다.

외국인은 삼성전자(-0.54%) SK하이닉스(-0.96%) 등 시총 상위 반도체주를 

집중 매도하며 지수를 압박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개인이 매수하며 지수가 0.09% 소폭 오른 보합권 마감했다.

한·미 관세 협상과 본격적인 어닝 시즌 기대감 속에 관세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으면서 투자자들의 관망세가 지속되는 모습이다.

 

뉴욕증시는 미·중 관세전쟁 완화 기대감과 트럼프의 “파월 해임할 생각 없다”는 

발언에 전일 급락을 만회하는 급등세로 마감했다.

국채 가격 하락세도 멈추고, 달러 가치도 반등했으며, 금값은 온스당 3500달러를 

넘어 신고가 랠리했고, 비트코인 가격도 7% 급등해 9만2000달러대로 올라섰다.

다우(2.66%), S&P500(2.51%), 나스닥(2.71%), 반도체(2.14%)

테슬라(4.59%)는 머스크 CEO가 DOGE에서 업무 비중을 줄이고 경영에 복귀

하겠다는 발언에 상승하고, 1분기 부진한 실적을 발표했지만 시간외 거래에서

4% 추가 상승하고 있다.

 

 

IMF가 관세 충격 등을 고려해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예상치를 기존 3.3%에서 

0.5%p 낮춘 2.8%로 제시했다.

특히, 우리나라의 올해 성장률은 지난 1월 2.0%에서 1.0%p나 낮춘 1.0%로 

전망하며 가장 비관적으로 봤고,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2.1%에서 1.4%로 낮췄다.

수출 의존도가 높고 미국과 중국과의 교역량도 많은 특성을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내일 1분기 GDP 발표를 앞두고 역성장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한국은행의 전망도 

주목되는 가운데, 오늘부터 시작되는 한·미 관세 협상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밤새 야간선물은 0.61% 올랐고, MSCI한국 etf 가격도 0.77% 상승했다.

삼성전자 해외 DR 가격은 -0.10% 내려 환산가 5만5000원으로 거래소 

종가 5만5000원과 같은 수준에 거래됐다. 

아침 프리마켓에서 삼성전자(1.4%) SK하이닉스(3.1%) LG엔솔(1.8%) 

삼바(0.9%) 현대차(1.5%) 등 대형주가 일제히 상승하고 있다. 

국내증시 개장전 나스닥 선물지수는 1.9% 올라 상승세 이어지는 흐름이다.

수요일(23일) 코스피 지수는 2500선을 돌파하며 강세 출발이 예상된다.

 

온라인으로 빠르게 상담 받으세요 온라인상담 신청